티스토리 뷰

반응형

 

 

 

 

 

 

 

 

 

 

 

 

 

 

 

 

암기법으로 인생을 바꾼 경험

부끄러운 과거의 고백

처음으로 고백할 것이 있다. 나는 수능에서 가장 잘 본 등급이 낮은 등급이었다. 처음 들어보는 대학에 다녔지만, 이 암기법을 사용한 후 3% 안에 들 수 있었고, 결국 약사가 되었다.

암기법의 발견

어렸을 때 나는 진지하게 암기를 너무 못해서 ADHD를 의심하며 병원까지 갔던 경험이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을 알고 나서 암기 과목은 나의 전략 과목이 되었다. 약대에서는 하루에 100개의 성분, 기전, 부작용을 모두 외울 수 있게 되었다. 오늘은 이 암기법에 대해 알려주고자 한다.

아빠 조지기(?)

이 방법에 이름을 붙였는데, 바로 '아빠 조지기'이다. 우리가 사랑하는 아빠가 아니라 AMP 파를 말하는 것이다. 이 파를 자극해야지만 장기 기억으로 바뀐다.

장기 기억의 원리

벼락치기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을 것이다. 전날에 머리에 우겨 넣은 내용들이 일주일 후에는 다 날아가 버리는 것을 단기 기억이라 한다.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바꾸려면 NMDA라는 수용체가 반응을 해야 한다. 한 번의 자극으로는 NMDA 파가 절대 형성되지 않는다. 반복적인 자극을 통해 게이지를 100까지 채워야 한다.

반복의 중요성

반복 학습이 중요하다는 것은 뻔한 말처럼 들릴 수 있다. 그러나 반복의 시기가 핵심이다. 나는 같은 내용을 하루에 여섯 번에서 일곱 번 정도 보았다. 그 단계를 한 번 설명해보겠다.

암기법 단계

1회독: 수업 듣기

첫 번째는 수업을 듣는 것이다. 이때는 암기보다는 내용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집중했다. 필기를 잘 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2회독: 수업 떠올리기

수업이 끝나자마자 교재와 필기를 보면서 수업을 떠올렸다. 이때는 대략 1시간에 5분 정도가 걸린다.

3회독: 마인드맵 작성

바로 그 자리에서 배운 내용을 A4 한 페이지의 마인드맵으로 정리했다. 대충 휘갈기며 교재와 필기를 보면서 그렸다.

4회독: 빈 종이에 마인드맵 그리기

책을 덮고 빈 종이에 아까 그렸던 마인드맵을 활용해 수업을 하듯이 그려 나갔다. 빠뜨린 내용을 빨간 펜으로 표시하며 채웠다. 그리고 꼭 사진을 찍어두었다.

5회독: 빨간 펜으로 표시한 내용 복습

빨간 펜으로 표시한 내용만 한 번 더 머릿속으로 빠르게 떠올렸다. 이로써 5회독이 끝난다.

6회독: 집에 가는 길 복습

집에 갈 때는 일부러 버스에서 일찍 내려 30분 정도 걸으며 오늘 암기한 내용들을 머릿속으로 한 번 더 떠올렸다. 기억나지 않는 내용은 핸드폰으로 찍어둔 마인드맵 사진을 다시 보았다.

7회독: 주간 복습

일주일 중 반나절은 비워두고 그동안 공부한 내용을 누적 복습했다. 신기하게도 70% 정도는 보존이 되었다. 남은 30%는 파란색 동그라미로 표시하고, 나중에 그 내용들만 다시 보았다.

결론

이 암기법으로 인생이 바뀌었다. 암기가 고민인 사람들은 깜지 쓰는 비효율적인 방법 대신, 이 '아빠 조지기' 방법을 시도해 보길 바란다. 더 공부에 욕심 있는 학생은 내 공부 칼럼을 고정 댓글에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앞으로도 입시 공부법에 관한 콘텐츠를 계속 만들 예정이다. 기대해도 좋다.

 

2024.07.04 - [1] - 암과 식습관에 대한 설명

 

암과 식습관에 대한 설명

암과 식습관에 대한 설명암이 좋아하는 음식암세포의 먹이: 탄수화물탄수화물은 한문으로 당(糖)이라 불림.탄수화물의 최종 대사산물인 포도당은 암세포의 주된 에너지원.탄수화물과 암나쁜

peacegen.tistory.com

2024.05.31 - [1] - 건강해지는 방법: 성공하는 생활 습관 3가지

 

건강해지는 방법: 성공하는 생활 습관 3가지

1. 혈당과 지수에 관심을 가져라요즘 트렌드는 혈당에 주목하는 겁니다. 믿기지 않는다면 실험해보세요. 혈당을 높이는 음식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은 장기적으로도 영향을 미칩니다.

peacegen.tistory.com

 

 

 

콘텐츠 소개 목적입니다

안되면 방법을 자세히 읽어주세요 

 

 

540

 

 

 

 

 

 

 

 

 

 

 

 

 

 

 

 

 

 

 

 

반응형